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9DHa87R5Yps2s4x8fM3Z 9QACxTTcE5lKGrgf6ujzyjvLudPV7VmmcoWwNioa33OdM3X5JoyWkZ7SwCKNdhhl A/A3eSpxj2kNyyZ5JFjwamRrEk9cgEhM3RMTqYpQhn//rVtXQYv9D0vWM2sPycAX PUZMwAVjRnnHejgTXTU6FOZztpnCG4sMBhfSihp/c7Dk8p1xcCGaxK3QyqxW2bmz qqzdjKsvrHgyad1NU1SeoFYz6CzM0NgBGXUR4L6D358u43vVWKJ0p87OLrsgltXH hVnR633KiszpNMxcIoMYJUCMXK9duqqYduYd0eiI5RKwin89VRdqGMU9NgRKNN0t d9M7VyfkhG0w7w21DTym0NLxx0TzpTl7CdJRoy6EInLvab4Keiurc3tyTxoZZA04 nZfo7pUFadZAeBVjdHXW42t7c/688MjMjc0J/jljJq5QblVKloeBnjINzmXI+Xmi wcN60TaH0i9dITanADk5zZNSUjJhY/QrfMX46OK0tglV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입원치료와 365일 응급처치 가능한, 인공신장센터
감염 예방을 위한 전용 장비 운용
환자용 CRRT 설치
고효율 투석기(HDF) 도입
최고급 침대와 침구
개인전용 HD급 TV 도입
개인 사물함 및 무료 음료제공
거동이 불편한 환우를 위합 접수/수납의 일원화 시스템 및 엠블란스, 휠체어 제공
01. 단백질 | 혈액투석시 단백질 섭취량은 투석 시 손실되는 아미노산량과 혈액량, 요독증에 의한 이화작용 증가량, 단백질 아미노산의 대사 및 흡수 변화 정도, 감염의 유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 1.1 - 1.4 g/kg 으로 섭취하고 그 중 65%는 생물가가 높은 생선, 고기, 계란류의 식품을 섭취합니다. |
02. 에너지 | 체조직의 분해를 막기 위해 30 - 35 kcal/kg 로 충분히 섭취하며 혈액투석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소모성 증후군을 막기 위해 탄수화물, 지방, 저단백 식품 등과 같은 에너지 급원 식품을 충분히 섭취합니다. |
03. 나트륨 및 수분 |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 있어서 나트륨 및 수분 허용량은 소변량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나트륨은 1일 2 - 3 g (소금 5 - 7.5 g), 수분량은 1일 소변량에 500 - 700 mL 정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 |
04. 수분급원 | ![]() |
05. 칼륨 | 혈액투석 시 칼륨 섭취는 1일 1.5 - 3 g 을 권장합니다. 또한 혈중 칼륨 섭취치는 투석액의 칼륨농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투석액 1L 당 1 mEq 이상인 경우에는 칼륨 섭취량이 고려되어야 합니다. |
06. 칼슘과 인 | 혈액투석 시 칼슘과 인 조절을 위해 식사조절과 함께 인산 결합제, 칼슘보충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. 인 섭취는 1일 체중 kg당 12 - 17 mg 을 권장하며, 칼슘은 혈중 칼슘치에 따라 조절되어야 합니다. |